원 포인트 레슨
보드(인클로저 포함) 열해석 과정
석우동
2015. 6. 18. 21:00
보드 열 해석은 Icepak 같은 도구를 사용해서 진행하는 데 그 과정이 신호 해석 과정과 어떻게 다른지 한 번 살펴 보자.
1. 경계(boundary) 설정
캐버닛 사이즈
Open(공기가 들어오거나 나가는 면), wall
2. 구조물 설계(또는 CAD 파일 import)
구조물 - object, source(열원), plate, pcb, grille, enclosure, wall, heat sink, package, …
구조물 지오메트리/ 구조물 물성/ 기타 구조물 조건 등 설정
3. Assembly 생성
슬랙 적용: mesh bleeding 예방(accuracy 유지하고 speed up)
4. Basic parameter, basic setting, advanced setting 등 설정
해석에 필요한 각종 기본 값 및 필요 조건 등 설정
레이놀즈 수 파악하여 층류/난류 여부 적용 결정
방사 여부 결정
이터레이션 수 결정
5. Meshing
매쉬 생성 및 메쉬 확인
6. 관찰 포인트 추가
구조물이나 관찰을 원하는 부위의 온도나 속도 등 등록
7. Solving
단일 솔브/파라메트릭 솔브(경우의 수를 통한 최적 값 찾기)/최적화
8. Post-Solving
Face(온도 분포), cut-plane(velocity) 등으로 결과 분석
report